포소화설비는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 효과가 적거나 화재가 확대될 우려가 있는 가연성 액체화재 등에 적용되며 물과 포소화약제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안 수용액을 공기로 발포시켜 연소면의 표면을 공기와 차단시킴으로서 질식소화하며 또한 포에 함유한 수분에 의한 냉각 소화효과도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화재에 적합하며 옥외소화에도 효과가 좋다.
|
|
포는 기계포(공기포)와 화학포가 있으며 그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다.
액체의 종류 |
특성 |
약제의 특징 |
|
단백포(Protein Foam) |
주성분 |
동물성가수분해 단백질+기포아정제 (계면활성제,샤포닝) |
동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염화제일철염(FeCl2)의 안정제를 첨가해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으로 제조된 소화약제이며 동결방지제로는 Ethylene Glycol,
염화나트륨, 프로필렌글리콜 등이며, 글리세린은 동결점이 19℃
이므로 부적합하다. 이 단백포는 산화하여 변질할 우려가 있고 침전이
되는 문제가 있어 포의 안정제와 겨울에 얼지 않게 하기 위해서
-5℃~30℃로 저장하여야 하는데 실내에 저장하거나 옥외에 저장시에는
보온조치가 필요하다. |
소화특성 |
- 포화유동성이 작다. |
||
사용농도 |
3%-(물97%+약제3%) |
||
방호대상 |
석유류화재 및 석유화학공장 |
||
불화단백포(Fluoro Protein Foam) |
주성분 |
단백포+불소계면활성제(미량) |
단백포에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불소의 소화효과는 포소화약제중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 잘 유통되지 않는다. |
소화특성 |
- 수성막포와 단백포의 결점인
열안정성을 증대시킴 |
||
사용농도 |
3% |
||
방호대상 |
석유류화재 및 석유화학공장 |
||
합성계면활성제포(Synthetic Foam) |
주성분 |
계면활성제+기포안정제 |
황산에스테르와 황산염을 사용하여 포의 안정성을 위해 첨가한 소화약제로 이 약제는 포가 유면을 덮어 산소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질식 소화효과로서 차고, 주차장, 주유소, 정유공장, 저유탱크 등의 설비에는 적합하나 제5류 위험물의 셀룰로이드와 같이 산소를 방출하는 화합물, 제3류 위험물의 금속칼륨과 금속나트륨,전기설비등에는 부적합하다. 팽창비는 저발포-6배이상, 고발포-8배이상이다. |
소화특성 |
- 포유동성이 좋다. |
||
사용농도 |
고발포용- (1%,
1.5%, 2%) |
||
방호대상 |
가스화재, 위험물저장소, 차고, 주차장, 석유화학공장 |
||
수성막포(Aqueous Film Forming Foam) |
주성분 |
불소계습윤제+기포안정제 |
미국의 3M사가
개발한 것으로 일명 Light Water이라고 한다. 이 약제는 불소계통의
습윤제에 합성계면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는 약제로서 물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수성막포는 가연물의 표면을 덮어 질실소화하며, 성능은
단백포 소화약제에 비해 약 3배의 효과가 있으며 필요한 소화약제의
양은 1/3 정도에 불과하다. |
소화특성 |
- 포소화약제중 소화력이 가장우수 |
||
사용농도 |
6% |
||
방호대상 |
석유류화재, 석유화학공장, 비행기격납고, 옥내주차장의 폼헤드용 |
||
알코올포(Alcohol Residant Foam) |
주성분 |
천연단백질분해물(합성계면활성제)+기포안정제(지방산복염) |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에 합성제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소화약제로서 알콜, 에스테르류와 같이 수용성인 용제에 단백포소화약제를 사용하면 포가 순식간에 파괴되고 지속성 및 소화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내알콜포를 사용한다. 팽창비는 6배이상이다. |
소화특성 |
- 수용성 위험물 소화에 적합하다. |
||
사용농도 |
6% |
||
방호대상 |
석유류중 수용성액체(알콜, 케톤, 에스테르류) |
포의 종류 |
팽창비 |
제1종기계포 |
80배이상 250배 미만 |
제2종기계포 |
250배이상 500배 미만 |
제3종기계포 |
500배이상 1000배 미만 |
1) 사용온도
화학포, 기계포의 사용온도 : -5℃~30℃
2) 비중, 점도(비중은 20℃일 때 , 점도단위 stokes=㎠/sec)
구분 |
단백포 |
합성계면활성제포 |
수성막포 |
내알콜용포 |
비중 |
1.1~1.2 |
0.9~1.2 |
1.0~1.15 |
1.1~1.2 |
점도 |
400 이하 |
200 이하 |
200 이하 |
400 이하 |
3) 유동점
포소화약제가 액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저의 온도이다. 유동점은 영하 7.5℃이하, 내한용은 -12.5℃이하, 초내한용은 -22.5℃ 이하이어야 한다.
4) 인화점
가연물 가열시 가연성 증기가 연소범위의 하한가에 도달하는 최저온도 즉, 가연물을 가열시 점화원을 사용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의 온도이다. 소화약제의 인화점은 60℃이상이어야 한다.
5) 저장용기
강철제 드럼과 Poly Ethylene통에 저장하여야 한다.
6) 저장용기의 표시
유지관리가 어려워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