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기술기준
별표19 공기탱크의 재료 및 구조의 규격 등
1항
2항
3항
기술기준 제60조 제1항 제2호 "나"의 규정에 의한
공기탱크의 구조 및 제153조 제5호 "가" 전단의 규정에 의한
압력탱크의 구조는 규격은 다음과 같다.
- 동체는 원통형으로 그 진원도는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11.7 동체의 진원도"에 적합할 것.
- 동판의 두께는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3.2판의 두께" 및 "4.1 내압을 받는 원통형 동체 또는 구형
동체의 강도"에 적합할 것.
- 경판의 모양은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5.2 경판모양의 제한" 및 "11.9 경판의 모양"에 적합할 것.
- 경판의 두께는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5.1 경판두께의 제한", "5.3 오목면에 압력을 받는 경판의
강도", "5.3 오목면에 압력을 받는 경판의 강도", "5.4 원추 체형
경판의 강도", "5.5 오목면에 압력을 받는 플랜지 붙이 접시형
덮개판"에 적합할 것.
- 평판의 구께는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5.9 스테이에 의해서 지지되지 아니하는 평판(경란, 덮개판,
밑판 등)의 강도"에 적합한 것.
- 구멍은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 용기의 구조"의 "5.10
경판내의 접어 넣는 플랜지 개구부", "5.11 경판내의 보강을
하지 않는 구멍", "8.7 보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멍", "8.8
저압을 받는 동체 및 경판의 구멍에 대한 보강의 계산", "8.11
보강재와 보강의 유효범위", "8.12 동체판 또는 경판의 두께 및
노즐의 벽 두께 중 보강재로서 산입되는 부분의 면적", "8.14
2개 이상의 구멍을 근접해서 마련하는 경우", "8.15 보강재의
강도", "11.6 용접 이음부의 구멍 또는 그 근처에 만드는
구멍"에 적합할 것.
- 용접 이음의 효율은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12.2.3 용접 이음의 효율"에 준할 것.
- 주요 재료의 수치의 허용차는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2.1(4) 재료의 치수의 허용 치수차"에
준할 것.
4항
기술기준 제60조 제1항 제5호의 규정에 의한 압축공기를 통하는
관의 구조 및 제153조 제5호 "가"전단의 규정에 의한 압력관의
구조의 규격은 한국공업규격 KS B 6231 "압력용기의 구조"의 "4.9
관의 강도" 및 "9.1 노즐용 관의 관 플랜지" 또는 제3항
제6호로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