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 |
종류 |
터널길이(m) |
|||
20미만 |
20~50 |
50~200 |
200이상 |
||
주간용 |
입구조명 |
|
|
○ |
○ |
내부조명 |
|
○ |
○ |
○ |
|
출구조명 |
|
|
|
★ |
|
야간용 |
내부조명 |
○ |
○ |
○ |
○ |
출구부 |
|
|
◆ |
○ |
|
비상용 |
내부조명 |
|
|
★ |
◆ |
터널조명의 설치기준 터널단면, 접속도로의 단면, 자동차속도, 터널길이, 터널의 건축마감, 환기설비의 유무, 교통량, 선형(곡선 또는 직선), 노면의 종류, 입구의 시계거리, 운전자의 위치에서 본 입출구 부근의 야외휘도 등이다.
" 예" 설계속도 80(㎞/h)일 때 경계부(40m)+이행부(100m)+완화부(45m) |
설계속도 |
경계부 |
이행부 |
완화부 |
기본부 |
||
거리m |
휘도nt |
거리m |
휘도nt |
거리m |
휘도nt |
|
100 |
55 |
95 |
150 |
47 |
35 |
9.0 |
80 |
40 |
83 |
100 |
46 |
45 |
4.5 |
60 |
30 |
63 |
75 |
35 |
40 |
2.3 |
40 |
20 |
34 |
45 |
20 |
25 |
1.5 |
[표] 짧은 터널의 경우 입구조명 ---------- 휘도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노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1nt = 1cd/㎡ = 13(lx), 아스팔트의 경우 1nt = 1cd/㎡ = 18(lx), - 일본조명학회지 1985년 조명년보 6.4도로
설계속도 |
터널길이 |
소요휘도 nt |
조명구간 m |
|||||
경계부 |
이행부 |
완화부 |
경계부 |
이행부 |
완화부 |
계 |
||
100 |
75 |
116 |
116 |
116 |
40 |
0 |
0 |
40 |
100 |
111 |
106 |
106 |
55 |
9 |
64 |
||
125 |
105 |
91 |
91 |
33 |
88 |
|||
150 |
103 |
77 |
77 |
56 |
111 |
|||
175 |
99 |
67 |
67 |
80 |
135 |
|||
80 |
75 |
112 |
40 |
0 |
0 |
40 |
||
100 |
105 |
94 |
94 |
23 |
63 |
|||
125 |
100 |
76 |
76 |
46 |
86 |
|||
150 |
94 |
62 |
62 |
68 |
108 |
|||
175 |
88 |
51 |
51 |
92 |
132 |
|||
60 |
75 |
108 |
103 |
103 |
30 |
9 |
0 |
39 |
100 |
97 |
76 |
76 |
31 |
0 |
61 |
||
125 |
87 |
51 |
57 |
53 |
0 |
83 |
||
150 |
78 |
45 |
45 |
75 |
10 |
115 |
||
175 |
70 |
35 |
12 |
75 |
13 |
118 |
||
40 |
75 |
97 |
80 |
80 |
20 |
17 |
0 |
37 |
100 |
78 |
51 |
50 |
37 |
0 |
57 |
||
125 |
64 |
38 |
18 |
45 |
7 |
72 |
||
150 |
52 |
31 |
4.4 |
45 |
18 |
83 |
||
175 |
42 |
30 |
1.5 |
45 |
30 |
95 |
터널내부의 휘도가 극단적으로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
구분 |
현상 |
기타 |
긴 |
|
|
짧은 |
|
터널내의 노면, 벽면의 휘도는 가능하면 높고,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노면과 벽면의 경계부의 휘도비는 명료하지 않으면 안된다.
[표] 내부조명의 노면휘도[nt]
용도 |
교통량 |
터널의 설계속도[kmh] |
|||
100 |
80 |
60 |
40 |
||
주간용 |
많음 |
10 |
5 |
2.5 |
2.5 |
적음 |
10 |
5 |
2.5 |
1.5 |
|
야간용 |
많음 |
5 |
2.5 |
1.25 |
1.25 |
적음 |
5 |
2.5 |
1.25 |
1.0 |
구분 |
현상 |
그림 |
주간의 경우 |
|
|
대형차 뒤의 승용차 |
||
야간의 경우 |
|
기구배광, 노면, 휘도분포, 야간 점멸상황, 보수,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배열한다.